『맛지마니까야』 제1권 중에서
마음챙김의 확립 경 (1)
Satipaṭṭhāna-Sutta
서언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꾸루의 깜맛사담마라는 꾸루들의 성읍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2. “비구들이여, 이 길은 중생들을 청정하게 하고,
근심과 탄식을 다 건너게 하고,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얻게 하고, 열반을 실현하게 하는 유일한 길이니,
그것은 곧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
3.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고
근면하고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면서 머문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고
근면하고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면서 머문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고
근면하고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면서 머문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고 근면하고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면서 머문다.”
몸의 관찰[身隨觀]
(1)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出入息念]
4.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숲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빈집에 가서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그는 마음챙겨 숨을 들이쉬고, 마음챙겨 숨을 내쉰다.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온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몸의 작용[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몸의 작용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비구들이여, 마치 숙련된 도공이나 도공의 도제가
길게 돌리면서 ‘길게 돌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돌리면서 ‘짧게 돌린다’고 꿰뚫어 아는 것처럼,
그와 같이 비구는 길게 들이쉬면서는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
‘몸의 작용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5.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다른 사람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요소들[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요소들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요소들과 사라지는 요소들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이 있구나’라고 그의 마음챙김이 현전하나니,
그것은 오직 지혜를 증장하게 하고, 오직 마음챙김을 강하게 한다.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 네 가지 자세[四威儀]
6.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갈 때에는 ‘가고 있다’고 꿰뚫어 알고, 서 있을 때에는 ‘서 있다’고 꿰뚫어 알며, 앉아 있을 때에는 ‘앉아 있다.’고 꿰뚫어 알고, 누워 있을 때에는 ‘누워 있다’고 꿰뚫어 안다. 또 그의 몸이 다른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든 그 자세대로 꿰뚫어 안다.
7.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3) 분명하게 알아차림[正知]
8.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아갈 때도 돌아올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正知] 행한다. 앞을 볼 때도 돌아볼 때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 행한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 행한다. 법의(法衣)·발우·의복을 지닐 때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 행한다.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 행한다. 대소변을 볼 때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 행한다. 갈 때도 서 있을 때도 앉아 있을 때도 잠잘 때도 깨어 있을 때도 말할 때도 침묵할 때도 분명히 알아차리면서 행한다.”
9.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4) 32가지 몸의 부위에 대한 관찰
10.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은 발바닥에서부터 위로 그리고 머리털에서부터 아래로 살갗으로 둘러싸여있고 여러 가지 부정(不淨)한 것으로 가득 차 있음을 반조한다. 즉 ‘이 몸에는 머리털·몸털·손발톱·이·살갗·살·힘줄·뼈·골수·콩팥·염통·간·근막·지라·허파·창자·장간막·위 속의 음식·똥·쓸개즙·가래·고름·피·땀·굳기름·눈물·[피부의] 기름기·침·콧물·관절활액·오줌 등이 있다’라고. 비구들이여, 이는 마치 양쪽 아가리가 있는 가마니에 여러 가지 곡물, 즉 밭벼, 보리, 녹두, 완두, 참깨, 논벼 등이 가득 담겨 있는데 어떤 눈 밝은 사람이 그 자루를 풀고 반조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밭벼, 이것은 보리, 이것은 녹두, 이것은 완두, 이것은 참깨, 이것은 논벼다’라고. 이와 같이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은 발바닥에서부터 위로 그리고 머리털에서부터 아래로 살갗으로 둘러싸여있고 여러 가지 부정(不淨)한 것으로 가득 차 있음을 반조한다. 즉 ‘이 몸에는 머리털·몸털·손발톱·이·살갗·살·힘줄·뼈·골수·콩팥·염통·간·근막·지라·허파·창자·장간막·위 속의 음식·똥·쓸개즙·가래·고름·피·땀·굳기름·눈물·[피부의] 기름기 ·침·콧물·관절활액·오줌 등이 있다’라고.”
11.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5) 네 가지 근본 물질[四大]의 관찰
12.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을 처해진 대로 놓여진 대로 요소[界]별로 반조한다. ‘이 몸에는 땅[地]의 요소, 물[水]의 요소, 불[火]의 요소, 바람[風]의 요소가 있다’라고. 비구들이여, 마치 솜씨 좋은 백정이나 그 조수가 소를 잡아서 각을 뜬 다음 큰길 네거리에 이를 벌여놓고 앉아 있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이 몸을 처해진 대로 놓여진 대로 요소[界]별로 반조한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가 있다’라고.”
13.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아홉 가지 공동묘지의 관찰
14. “다시 비구들이여, ①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죽은 지 하루나 이틀 또는 사흘이 지나 부풀고 검푸르게 되고 문드러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바로 자신의 몸을 그것과 비교해본다. ‘이 몸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라고.”
15.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6. “다시 비구들이여, ②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를 까마귀 떼가 달려들어 마구 쪼아 먹고, 솔개 떼가 쪼아 먹고, 독수리 떼가 쪼아 먹고, 개 떼가 뜯어 먹고, 자칼들이 뜯어 먹고, 별의별 벌레들이 다 달려들어 파먹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것과 비교해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라고.”
17.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8~24. “다시 비구들이여, ③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해골이 되어 살과 피가 묻은 채 힘줄에 얽혀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④ 해골이 되어 살은 없고 아직 피는 남아 있는 채로 힘줄에 얽혀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⑤ 해골이 되어 살도 피도 없이 힘줄만 남아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⑥ 백골이 되어 힘줄도 사라지고 뼈들이 흩어져서 여기에는 손뼈, 저기에는 발뼈, 또 저기에는 정강이뼈, 저기에는 넓적다리뼈, 저기에는 엉덩이뼈, 저기에는 등뼈, 저기에는 갈빗대, 저기에는 가슴뼈, 저기에는 팔뼈, 저기에는 어깨뼈, 저기에는 목뼈, 저기에는 턱뼈, 저기에는 치골, 저기에는 두개골 등이 사방에 널려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것과 비교해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라고.”
25.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6.~30. “다시 비구들이여, ⑦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백골이 되어 뼈가 하얗게 변하여 조개껍데기 색깔처럼 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⑧ 백골이 되어 단지 뼈 무더기가 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⑨ 그 백골이 해를 넘기면서 삭아 가루가 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것과 비교해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라고.”
31. “이와 같이 안으로 [자기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다른 사람의]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요소들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요소들과 사라지는 요소들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이 있구나’라고 그의 마음챙김이 잘 확립되나니, 그것은 오직 지혜를 증장하게 하고, 오직 마음챙김을 강하게 한다.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계속)
•이 글은 『맛지마니까야』 제1권(대림 스님 옮김, 초기불전연구원 刊, 2012년)에서 발췌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