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간과 불성의 문제 | 메타버스

디지털 인간과
불성의 문제


김경회
대구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1,000여 명의 대학생들이 꽉 들어찬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 대형 강의실이다. 강의실 앞 스크린엔 “4,500만, 24시간”이란 숫자만 보일 뿐이다. 교수는 학생들에게 “이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느냐?”고 여러 차례 묻고 있다. 묵묵부답…. 시간이 꽤 흐른다. 엉뚱한 대답에서부터 “음원 조회 수 아닌가요?”란 대답으로 차츰 윤곽을 좁혀간다. 마침내 얻은 답은 대한민국의 BTS(방탄소년단)란 그룹이 24시간 이내에 도달한 뮤직비디오 조회 수가 4,500만(세계 1위)이란 결론이다. 이 그룹은 유튜브로 데뷔해 그들만의 킬러 콘텐츠, 음악성, 춤, 팬들에 대한 사랑 등으로 방송을 시작했고 4년 만에 세계 1위의 가수가 되었다. 과거엔 일단 지상파 방송에서 가수가 떠야 했으므로, 엄청난 자본금과 마케팅을 바탕으로 열심히 노력해야 세계 최고의 가수가 되었다. 반면 이 그룹은 전혀 색다른 방송 환경에서 세계 1위가 된 것이다. 이렇게 기존 방식과 전혀 다른 방식의 혁명이 방송 미디어에 찾아온 것이다. 국내 기존 지상파 방송국의 매출이 50% 사라졌고 유튜브와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그 감소한 50%의 매출을 차지한 혁명군이 되었다. 은행의 경우에도 텔레뱅킹, 인터넷 뱅킹, 자동화 기기 등 전부 무인 서비스이다. 2021년 기준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그 무인 서비스 처리 비중이 94.2%이다. 그러면 90%의 지점을 폐쇄해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이고, 실제로 미국 시티은행은 지점을 80% 폐쇄했다. 이것이 은행에 찾아온 혁명이다. 마지막으로 유통을 보자. 대한민국도 2018년 이후 어마어마한 속도로 모바일 쇼핑이 늘고 있다. 요즘 의식주 모두 “다운로드”로 해결하고 있다. 이런 결과 미국에서는 이미 백화점 3분의 1이 폐쇄되었고 20%의 소매점이 문을 닫았다. 이유는 아마존(Amazon) 때문이다. 이것이 유통에 찾아온 혁명이다. 매일 방송 미디어를 보고 은행 업무를 하고 물건을 사는 우리에게 그 혁명은 이미 피부 깊숙이 들어와 있다. 이 시장 혁명을 만든 것은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이다. 휴대폰을 뜻하는 포노(phono)와 생각, 지성을 뜻하는 사피엔스(sapiens)의 합성어인 “포노 사피엔스”란 ‘스마트폰이 신체 일부와 같아 그것 없이 살아가기 힘들어하는 사람’을 뜻한다.

이렇게 우리 일부가 된 휴대폰, 퍼스널 컴퓨터, 더 나아가 인공지능(AI) 시스템들은 반도체의 핵심 재료로 ‘실리콘’이란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주기율표에 원소 기호 Si, 원자 번호 14번으로 표시되는 ‘실리콘’은 명확한 실체이고 존재이다. 따라서 주기율표는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 모두를 나타내고 그중 자연계 원소가 92개이며 인공으로 만든 원소까지 합하면 118개가 된다. 그런데 물질 존재를 나타내는 이 주기율표는 시공간(時空間)을 양자화하는 순간 출현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양자화(양자역학)란 말은 시공간이 연속이 아니고 구분되어 있어 불연속이라는 것이다. 시공간의 양자화를 수식(數式)으로 표현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변수 분리 상수들이 생긴다. 이 상수들은 각각 주양자수, 궤도양자수, 방위양자수이며 주기율표 대부분을 설명한다. 그래서 ‘실리콘’이란 실체는 주양자수 3, 궤도양자수 1인 전자 분포 궤도를 갖는 공간적 상태이다. 이 공간적 상태가 측정되는 순간 자연계는 정지된다. 그 순간을 상태가 고정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우주의 시공은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동적 관계(關係)를 형성하므로 고정된 상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유일하게 관찰하는 순간에만 상태가 고정되는 것이고, 바로 그 순간 존재가 출현하는 것이다. 관찰하는 순간이 만들어낸 착각(幻)이다. 측정 순간 그 정지된 공간이 슈뢰딩거 방정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그 결과 주양자수 3, 궤도양자수 1인 전자궤도(전자의 공간적 분포)가 ‘실리콘’이란 존재로서 출현한 것이다. 이처럼 주기율표의 모든 원소의 존재(存在)는 공간(空間)과의 관계(關係)로부터 출현하고, 그렇게 존재하는 사물들의 세계는 상호작용의 세계이며 관계(關係)로 환원된다. 그 관계에 시간이 개입되어 인과(因果)로 바뀌고, 그 인과의 관계망으로 형성된 것이 연기(緣起)이다. 따라서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의 존재는 그 주체가 실존하지 않고, 그 존재라고 이야기할 자아(自我, self)가 없다. 자아가 존재하는 것은 측정 순간과 관계(인과, 연기)가 만들어낸 착각(幻)이다. 존재하기는 하는데 현상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假有).

이처럼 우주 본연의 모습을 현대 물리학을 통해서 살펴봤다. 명상이나 종교는 그 본연의 자리를 이런 수식(數式) 없이 직관적으로 들어간 영역이다. 현대 물리학을 요약한 마지막 문장들에서 관계, 인과, 연기, 자아(self)가 없다, 착각(幻), 현상적 존재(假有)란 어구들을 볼 수 있다. 첨단 시대를 사는 디지털 인간의 이 같은 언어는 3,000년 전 붓다에 의해 선언된 통찰적 언어와 얼마나 다를까?

『금강경』에 담고 있는 무사상(無四相)은 무아상(無我相), 무인상(無人相), 무중생상(無衆生相), 무수자상(無壽者相)이다. 무사상의 요점은 결국 무아상(무아, 無自性, no self) 으로 대변된다. 여기서 ‘我’는 글자로만 보면 ‘일방적인 나(ego)’라는 의미처럼 해석되나 붓다의 가르침은 인천교(人天敎)에 국한되지 않고, 더 높은 경지의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세상의 모든 있는 것은 실체가 없고 연기, 무자성, 공(空)에 입각해 있다. 공의 세계는 모든 것이 연기로 이루어져 존재란 그 자체에 자성(self)이 없는 무자성(무아)의 세계이다. 그러므로 공이라고 한다. 여기 눈앞에 분명히 뭔가 실체가 있다. 있는데 이것을 왜 공하다고 하는가? 이 공하다고 하는 것은 본래 영원히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연기에 의해서 있다. 지수화풍 사대(四大)로 인연생기(因緣生起)에 의해서 잠시 가유(假有)로서 있는 것이고 영원히 있는 것이 아니다. 가유의 세계이고 환(幻)으로 있는 세계이다. 공으로 있다고 하는 이 세계는 『화엄경』의 이법계(理法界)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제법공상(諸法空相)이고, 「대승기신론」에서 설명하는 진여문(眞如門)의 세계이다.

여기 지금 한 물건이 있다. 분명히 보이고 만져진다. 분명히 있는 것인데 있는 것이 어떻게 있느냐 자성이 없는 것으로 여기에 있다. 여기에 있다고 하는 세계, 이 유(有)의 세계는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이란 색(色)의 세계이다. 이 색의 세계를 바로 실상(實相)의 세계라고 한다. 그러나 이 실상의 세계는 공하다는 것을 전제로 있다(有)는 것을 볼 줄 알아야 한다. 『반야심경』에는 제법이 공상(空相)인데, 이번엔 제법이 실상(實相)이라는 것이다. 이제 『법화경』의 세계로 온 것이다. 『법화경』의 세계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진리 아님이 없는 바로 제법실상(諸法實相)의 세계를 말하고 있다. 그래서 『법화경』을 실상 『묘법연화경』이라 한다. 이 실상의 세계도 반드시 이법계라고 하는 공의 이치를 바탕으로 했을 때 그렇게 나타나는 것이다. 거울이 텅 비어 있을 때만이 거울에 비치는 두두물물 삼라만상이 있는 그대로 진리가 아님이 없다. 이렇게 표현되는 것이 『화엄경』에서 사법계(事法界)를 말하는 것이고, 「대승기신론」에서는 생멸문(生滅門)의 세계이다. 『원오심요(圓悟心要)』 상권(上卷) 45절, 영상인(瑛上人)에게 주는 글을 인용하며 글을 맺고자 한다. “애초에 나라는 생각이 없는데 어찌 성색(聲色)에 맞고 거슬리는 경계와 마군(魔軍)이니 부처니 하는 경계가 있으랴!” 본래 없는 “나”라는 존재를 구태여 “나”라고 이름 붙여 군더더기를 만들어냈을 뿐이다.

자타일시성불도(自他一時成佛道)




김경회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대학원 석사, 미국 컬럼비아대 대학원 석사, 컬럼비아대 대학원 화학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1대 한국세라믹기술원 원장, 요업기술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대구대 화학공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한국교수불자연합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