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성 시인은 2007년 『시와시학』으로 등단했다. 『BBS불교방송』 등 불교계 언론사에 오래 재직했고, 『한권으로 읽는 아함경』,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와 같은 불교 서적도 여러 권 펴냈다. 또한 계간지 『불교평론』과 시 전문지 『유심』을 제작했다.
홍사성 시인은 불교와의 인연이 깊으니 창작한 시를 통해서 불교의 사상이 드러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불교 시편들을 모아 시집 『내년에 사는 法』, 『고마운 아침』, 『터널을 지나며』를 발간했다.
홍사성 시인의 시편들은 사찰에서 일어난 일화나 스님에 대한 이야기, 자연, 마음 등을 주목해서 다룬다. 가령 시 「어느 가을밤」을 일례로 들 수 있겠다. “달 밝은 가을밤 산속 암자에 도둑이 들었다// 이것저것 잔뜩 훔친 도둑이 일어나지 못했다// 그때, 누군가, 슬쩍 지게를 밀어주며 말했다// 밤길이 험하니 달빛 따라 조심해 내려가시게”
홍사성 시인의 시에 대해 정효구 문학평론가는 “본심을 시 쓰기의 본처에 두고 있는 드문 시인”이라고 평가했다. 본심을 전한다는 것은 다름 아닌 전도(傳道)를 의미할 것이다.
‘부목(負木)’은 절에서 땔나무를 해서 들이는 사람을 뜻한다. 부목살이는 그러므로 절에서 군불을 때는 등 허드렛일을 하는 사람이나 그러한 일 자체를 일컫는다. 시인은 직장의 일을 그만두면 늘그막에 산중 암자에서 부목살이하기를 원했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그런 계획이 실행되지 못하고 시인은 시내 모처에 머물며 공간을 청소하고 내방객이 있으면 차를 끓여내는 일을 한다. 그런 시인을 보고선 한 늙은 어르신이 남의 비위를 제법 잘 맞춘다고 한마디를 한다. 하심(下心)이 꽤나 몸에 배었다는 뜻이었을 것이다. 그런 일 이후로 시인은 더욱더 굽실거리는 것에 골몰한다. 성질이나 태도가 보다 온순하길, 수굿수굿하게 되길 바라 그렇게 하는 것이니 이는 곧 수행에 다름 아닐 것이다.
홍사성 시인은 시 「설악산 소나무」에서 “비 오면 비를 맞는다/ 눈 오면 눈을 맞는다/ 바람 불면 바람 피하지 않는다”라고 썼는데, 이 설악산 소나무의 성품이 곧 홍사성 시인의 시편들이 갖고 있는 매력이라고 하겠다.
문태준 1994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수런거리는 뒤란』, 『맨발』, 『가재미』 등이 있다. 노작문학상, 유심작품상, 미당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목월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BBS불교방송』 제주지방사 총괄국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