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에게 성지순례의 의미는|특집, 불교 성지순례길

불자에게 성지순례의 의미

김응철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교수


성지를 참배하는 것 이상으로 함축하는 바가 많은 성지순례
불교 성지는 부처님과 관련된 4대 성지를 비롯해 중생제도가 이루어진 모든 장소가 포함된다. 더불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선지식을 친견하거나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장소, 전통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사찰 등도 성지순례의 대상이 된다.

불교에서 성지순례의 의미는 『대반열반경』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아난존자는 부처님의 열반을 슬퍼하면서 다음과 같이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전에는 안거가 끝나면 비구들은 여래를 친견하러 왔고 우리는 그런 마음을 잘 닦은 비구들을 맞이하였고 그들은 세존을 친견하고 공경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세존께서 가시고 나면 우리는 그런 마음을 잘 닦은 비구들을 맞이하지 못할 것이고, 그들은 세존을 친견하고 공경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부처님은 “믿음을 가진 선남자가 친견해야 하고 절박함을 일으켜야 하는 네 가지 장소가 있다”고 설했다.

“아난다여, 믿음을 가진 선남자가 친견해야 하고 절박함을 일으켜야 하는 네 가지 장소가 있다. ‘여기서 여래가 태어나셨다. 여기서 여래가 위없는 정등각을 깨달으셨다. 여기서 여래가 위없는 법의 바퀴를 굴리셨다. 여기서 여래가 무여열반의 요소로 반열반하셨다.’ 이곳이 믿음을 가진 선남자가 친견해야 하고 절박함을 일으켜야 하는 장소이다.”(『대반열반경(D16)』)

네 가지 장소는 부처님의 탄생지 룸비니, 성도지 붓다가야, 초전법륜지 사르나트 녹야원, 입멸지 쿠시나가라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르침이 있었기 때문에 부처님 열반 이후부터 수행자뿐만 아니라 재가 불자들도 성지순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불자들의 성지순례는 부처님이 활동하셨던 장소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화엄경』 「입법계품」에서는 선재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을 만나기 위해서 구법 여행을 떠나는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선재동자는 구법 여행을 통해 보살 등을 비롯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진리가 삶을 떠나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을 깨우쳤다. 이를 통해 성지순례는 성지를 참배하는 것 이상의 여러 가지 함축하는 바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묵언의 대화 속에서 설하는 바 없는 설법을 들을 수 있는 성지순례
성지순례는 동참하는 사람에 따라서 각자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각기 다양 다기한 목적으로 순례의 여정을 출발하게 된다. 이런 점을 종합해보면 불자들의 성지순례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미를 부여해볼 수 있다.

첫째, 성지순례는 신심을 고양할 수 있는 신행 활동의 방법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불자들의 성지순례는 부처님의 부촉하신 바를 실천하는 것으로 불퇴전의 신심을 갖추었을 때 성지에 대한 의미를 깨우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심이 없을 때의 성지는 한낱 이름 없는 장소에 불과하지만 신심이 견고해진 불자들에게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전해지는 장소적 의미가 더욱 크게 다가올 수 있다.

둘째, 성지순례는 불자들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새롭게 발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발심은 ‘부처님의 깨달음을 나도 깨우쳐 성불하겠다’라는 스스로의 다짐이다. 이러한 마음으로 부처님 재세 시의 전법 교화가 이루어졌던 장소에 서게 된다면 깨달음과 성불의 의미를 더욱 새롭게 새겨볼 수 있다. 45년 동안 전법 교화를 위해 부처님께서 맨발로 걷던 그 길 위에 서본다는 것만으로도 환희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2,700여 년 동안 수많은 선지식들이 찾아온 그 성지에는 수행자의 호흡과 땀방울이 장엄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셋째, 성지순례는 자신의 정진과 수행의 과정을 점검하고 새로운 원력을 세우는 계기가 된다. 순례는 자신의 허물을 반성하고 참회하는 정진의 장이며 동시에 온전히 자신과 내면의 대화에 집중할 수 있다. 참회 명상, 걷기 명상, 집중 명상, 관찰 명상 등 성지순례 동안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수행 방법도 활용할 수 있다. 인도의 불교 성지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산재한 다양한 불교 성지에는 오늘도 동서양의 많은 젊은이들이 호흡을 가다듬으며 정진의 발걸음으로 찾아오고 있다.

넷째, 성지순례는 동서고금의 선지식을 만날 수 있는 친견의 장을 찾는 것이다. 각지에 산재해 있는 성지에는 부처님과 직제자뿐만 아니라 그곳을 다녀간 많은 선지식들의 흔적을 대할 수 있다. 성지순례는 과거와의 만남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선지식을 기대할 수 있는 장이 된다. 성지는 과거와 미래, 그리고 현재가 공존하며, 욕계와 색계, 무색계가 하나로 정화되는 불국토이다. 그리고 삼세삼계의 모든 선지식이 그곳을 찾기 때문에 성지에서는 묵언의 대화 속에서 설하는 바 없는 설법을 들을 수 있다.

다섯째, 성지순례는 삼보를 외호하고 전법 교화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불자들의 성지순례는 주요 성지를 보호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이 영속할 수 있도록 하나의 탑을 쌓는 과정이다. 순례에 나서는 불자들의 발걸음은 성지와 그 주변을 청정하게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인도의 주요 성지는 12세기 이슬람이 침략하면서 모두 파괴되어 모래 속에 묻혔으나 불자들의 성지순례가 이어지면서 발굴되고 복원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더 많은 불교 성지들이 발굴되고 있어서 불자들의 순례를 촉진하고 있다. 성지 주변에 사찰들이 건립되고, 출가자가 늘어나면서 인도 불교가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가고 있는 중이다.

모든 종교가 성지를 가지고 있고, 종교인은 각각의 종교적 교리와 문화에 따라 성지순례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성지순례는 해당 종교인뿐만 아니라 종교에 관심을 갖는 일반인에게도 종교적 영감과 지혜로운 삶의 방법을 찾을 수 있게 해준다.

불교는 오랜 역사를 이어오면서 초기 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국가에서 많은 성지가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에도 삼보사찰을 비롯해 관음도량, 지장도량, 미륵도량 등 수많은 전통 사찰이 불자들의 순례 코스가 되고 있다. 이러한 성지에 홀로 서본다는 것만으로 환희심이 느껴지고, 도반과 함께 걷는 것만으로도 정진과 수행의 여정이 될 수 있다. 전 국민이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성지순례길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김응철
경기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중앙승가대 불교사회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불교신문』 논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처님 직제자들의 수행과 포교 이야기』, 『재가불자가 되는 길』 , 『10분 치유명상』 등의 저서가 있으며 다수의 포교 관련 논문이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