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속의 도서관 | 사유와 성찰

마음속의 도서관

김태겸
수필가, 본지 편집위원


30년 동안 살아온 아파트가 재건축을 하게 되었다. 몇 달 내에 이사해야 한다는 통보를 받고 마음이 바빠졌다. 한가한 시간을 이용해 이삿짐을 차근차근 싸야 했다. 이사를 계기로 미니멀리즘을 바탕으로 한 삶을 살고 싶었다. 아내와 상의해서 당장 필요하지 않은 물건들은 과감히 정리하기로 했다.

켜켜이 쌓아놓았던 묵은 짐들을 하나하나 꺼내 분류하는 것은 엄청난 도전이었다. 이미 결혼한 두 딸의 초등학생 때 쓴 일기장에서부터 내가 미국 유학 시절 사용했던 전동 영문 타자기까지 이런저런 이유로 버리지 못하고 선반 깊숙이 넣어놓았던 물건들이었다. 이런 것들이 아직까지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으니 수납공간이 부족해 집이 어수선해 보였을 것이다.

그래도 쉽게 정리할 수 있었던 것은 옷이었다. 고급 원단이라 아까워 남겨두었던 양복은 하복과 동복 각 두 벌씩만 남기고 재활용품함에 던졌다. 결혼할 때 입었던, 장모님이 정성스레 만들어주었던 비단 한복과 두루마기도 눈을 질끈 감고 버렸다. 흰 와이셔츠는 물론 바지도 아랫단이 넓어 후줄근하게 보이는 것은 모두 정리했다.

하지만 책을 분류하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6단 책꽂이 5개에 빼곡히 꽂혀 있는 책은 1,000권이 훨씬 넘었다. 마음 같아서는 100권 정도만 남기고 싶었다. 먼저 소장 기준을 정했다. 현재 관심이 있는 문학, 철학, 불교, 물리학 분야의 책만 갖기로 했다. 경제, 경영, 행정, 역사, 시사 관련 책은 모두 처분하기로 했다. 재활용품함에 던져 넣기 아까운 책들은 알라딘 중고 매장을 방문해 헐값에 팔았다.

며칠 동안 작업해 많은 책을 처분했음에도 아직 수백 권의 책이 남았다. 다시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정리해야 했다. 아쉽지만 이미 읽은 책은 모두 버리기로 했다. 그러나 마음에 걸리는 것은 지인이 서명까지 해서 선물한 책이었다. 언젠가 저명한 문인을 만나 대담할 때 들었던 말이 생각났다.

“저는 길을 갈 때 책을 떨이로 팔고 있는 노점상 앞을 지나기가 두려워요. 거기에 내 책이 있을까 해서요.”

혹시나 내가 노란 재활용품함에 던져버린 책을 작가가 보기라도 한다면 그건 정말 끔찍한 일이었다.

이런 생각에 사로잡혀 고심하고 있을 때 초인종이 울렸다. 마침 집 근처에 나들이 왔던 큰딸이 외손자와 함께 들른 것이었다. 녀석은 올해 초등학교 3학년이 되었는데 꽤 의젓해졌다. 인사성도 밝고 유치원 때와는 달리 꼬박꼬박 존댓말을 쓴다. 어린이 티를 벗고 소년으로 성장한 모습이 대견스러웠다. 이젠 함께 놀아달라고 보채지도 않고 가지고 온 아이패드를 검색해 유튜브를 보거나 게임을 한다.

녀석이 빠져 있는 게임을 곁눈으로 지켜보았다. 한창 건물을 짓고 있는 중이었다. 어떤 종류의 게임인지 궁금해서 물었다.

“지금 무슨 게임을 하고 있는 거니?”

“마인크래프트예요. 1,200원 주고 가입했는데 네모난 블록으로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어요. 만든 게 마음에 들지 않으면 불에 태워 없앨 수도 있어요.”

녀석은 방금 화면에 만들어놓은 건물이 불에 타는 장면을 보여주었다. 게임이 교육에 좋지 않다는 말을 들었지만 이런 종류의 게임은 아이들의 창의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할아버지가 꼭 갖고 싶은 건물이 있는데 하나 만들어줄 수 있겠니?”

녀석의 눈이 호기심으로 반짝였다.

“할아버지가 원하면 무엇이든 만들어 드릴게요.”

“개인 도서관이란다. 천장까지 닿는 책꽂이가 여러 개 있고 열람실도 갖춘 나만의 도서관이지. 높은 곳의 책을 꺼낼 수 있도록 사다리까지 만들어야 해.”

녀석은 자신이 있다는 듯 고개를 끄덕였다.

나는 방으로 돌아와 다시 책을 분류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었다. 30분쯤 지났을까? 녀석이 방으로 뛰어들었다.

“보세요. 제가 할아버지를 위해 만든 도서관이에요.”

도서관은 숲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넓은 잔디밭 정원을 지나 도서관 입구가 보였다. 장방형의 큼직한 목재 문이었다. 내부에 들어서자 널찍한 열람실에는 원목으로 만든 듯한 깔끔한 책상과 의자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고 그 뒷벽에는 천장까지 닿는 서가가 촘촘히 들어섰다. 녀석은 화면을 확대하더니 서가 옆에 비치되어 있는 사다리까지 보여주었다. 내가 원하는 완벽한 도서관이었다. 나는 기분이 좋아 유명한 건축가도 이런 도서관은 만들기 어려울 것이라고 칭찬하고 금일봉까지 주었다.

“이건 건축비로 할아버지가 주는 것이니 마음대로 써도 돼.”

녀석은 봉투를 들고 제 엄마에게 자랑하러 뛰어나갔다.

외손자가 만들어준 그 도서관 건물은 내 마음속에 깊이 새겨졌다. 가상 세계에 있는 나만의 도서관. 앞으로 어쩔 수 없이 버려야 하는 책들을 이 도서관에 간직하기로 했다. 그렇게 마음먹으니 책을 분류하는 일이 훨씬 쉬워졌다. 책을 선물한 사람에 대한 미안함도 덜어졌다. 나는 누구보다도 많은 책을 소장한 개인 도서관을 가진 셈이 되어 마음은 한결 풍족해졌다.

불교에서는 현실 세계가 우리의 감각기관과 의식이 만들어낸 환상이라고 한다. 꿈속에 있으면서 꿈인 줄 모르고 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실 세계에 있는 도서관이나 가상 세계에 있는 도서관이 무슨 차이가 있을까. 사실 지난 세월을 회상할 때면 한 편의 꿈을 꾼 것 같기도 하다. 어느 영화 장면처럼 나는 꿈속에서 꿈을 꾸고 있는 것일까?

김태겸
수필가, 전 강원도 행정 부지사, 『문학 秀』 편집인, 서초문인협회 부회장, 한국문인협회 국제 PEN한국본부 회원, 월간 『불교문화』 편집위원. 수필집 『낭만가(街)객』 등이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