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같은 남양주 흥국사 만세루방 | 스토리텔링 사찰 속으로

대원군의 시초, 덕흥대원군과
남양주 흥국사 만세루방

손신영
(사)한국미술사연구소 책임연구원


궁궐의 침전과 똑 닮은 만세루방
남양주 흥국사 만세루방 앞에 가면 어느 궁궐에 서 있는 것 같다. 정갈한 기단과 계단에서부터 원기둥과 새부리형 익공에 이르기까지 궁궐의 침전(왕·왕비·대비등의 일상생활 공간)과 똑 닮았기 때문이다.

불교가 억압당하던 조선시대에 어떻게 궁궐 양식의 건물이 절에 들어선 걸까? 만세루방은 1830년 당시, 아버지 순조(純祖) 대신 통치하던 효명세자의 허락을 얻어 세워졌다. 절에 건물을 짓는데 세간 통치자의 허가를 받은 것이다. 도대체 무슨 건물이기에 이런 과정을 거친 걸까?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남양주 흥국사에 대해 알아야 한다.

<동궐도>의 연경당

조선시대 대원군의 시초, 덕흥대원군
남양주 흥국사의 중심에는 덕흥대원군이 있다. 덕흥대원군의 묘가 가까이 있어 원찰로 지정되고,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후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대원군은 왕위에 오르지 못한 왕의 아버지를 의미하는데, 흔히 흥선대원군으로 통칭되곤한다. 하지만 조선시대 대원군의 시초는 덕흥대원군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 왕들의 중흥조는 덕흥대원군이므로, 왕실에서 그에 대한 존숭은 주요 사안이었다. 덕흥대원군은 중종의 후궁에게서 태어난 일곱째 아들로, 덕흥군에 봉해져 왕은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의 셋째 아들이 왕이 되었다. 명종의 뒤를 이은 선조(宣祖). 선조는 즉위 직후, 돌아가신 아버지를 왕으로 높이려 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꼭 실행해야 했지만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혀 이루지 못했다. 이때 한 내관이 꾀를 냈다. 궁궐에서 사용할 땔감을 동대문 밖에서 사 올 때, 나무꾼에게 어디를 지나왔냐고 물어 ‘덕흥대원군묘’를 지나왔다고 하면 사지 말고, ‘덕릉’을 지나왔다고 하면 비싸게 사 오라는 것이었다. 덕릉 입소문 결과는 대성공을 거뒀다. ‘덕릉’은 덕흥대원군묘와 별도로, 지명(地名)으로 굳어 지금도 남아 있다. 덕릉마을, 덕릉예비군훈련장으로 말이다.

<남양주 흥국사 감로도>의 만세루방과 의식 설행 부분

그렇다면 덕흥대원군과 만세루방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830년은 덕흥대원군 탄생 300주년이 되는 해여서, 왕실이나 남양주 흥국사 모두 성대한 행사를 계획했을 것이다. 그런데 2년 전 창덕궁에는 왕실 전용 극장, 연경당이 세워졌다. 의례 음악을 몸소 정비할 정도로 문화적 소양이 높은 효명세자가 부모인 순조 내외의 40세 생신을 맞아, 전에 없던 형식으로 지은 것이다. ┎┒자 평면으로 구성되어 건물 밖 무대에서 행해지는 춤과 음악 공연을 실내에서 감상할 수 있는 건물이었다.(현재 창덕궁 연경당은 고종대에 상류층 주택 형식으로 다시 지은 것이다. 효명세자가 세운 모습은 <동궐도>와 의궤에 전해진다.) 남양주 흥국사에서도 덕흥대원군 탄생 300주년을 맞아, 왕실 전용 극장으로 만세루방을 설립하고자 했다. 그래서 승인이 필요했던 것이다. 만세루방이 세워진 후 행사가 어떻게 치러졌는지 알 수 없지만, 1868년의 <남양주 흥국사 감로도>로 짐작해볼 수 있다. 만세루에서 야외 의식 설행(設行)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세루방 실내는 6칸의 넓은 방 좌우로 작은방과 내루(內樓) 등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관처럼, 궁궐 침전과 비슷하다. 부녀자들의 절 출입이 금지되던 시기였음에도 남의 이목을 피해 다녀가는 상궁이나 귀부인들이 염불이나 기도, 참선하기에 안성맞춤이었을 것이다.

만세루방은 효명세자의 허락과 후원으로 지어지기 시작했으나 그가 서거하자 어머니 순원왕후의 도움으로 마무리되었다. 40여 년 뒤 중건 때는 철인왕후가 후원했는데 역시 도중에 서거해, 신정왕후의 후원으로 완성되었다. 결과적으로 남편 효명세자가 시작한 공사를 아내 신정왕후가 마무리한 것이다. 절집의 궁궐 건축이라는 사실 못지않게 후원자 내력도 드라마틱하다.

손신영
대학에서 건축,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공부했다. 현재 (사)한국미술사연구소 책임연구원이자 제주대학교 외래교수이다. 한국 전통 건축을 근간으로 불교미술을 아우르는 통섭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