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명상 활용하기

생활 속의 명상

김종우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선생님은 명상을 매일 하시나요?”
당연한 질문이기는 하지만, 때로는 난감한 질문이 되기도 한다.
명상을 하기는 하지만, 매일 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과거에 명상 하면 떠오르는 것은 좌선이었다. 향불을 앞에 피워놓고 30분에서 1시간 남짓 가부좌를 틀고 향불을 응시하면서 단전호흡을 하는 모습이었다.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을 한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와 같이 오로지 집중을 하면서 하는 일종의 수련, 수행이었다. 서구에서 명상이 역수입되고 틱낫한 스님의 걷기 명상과 MBSR의 먹기 명상을 접하면서 활동 명상, 생활 명상이 한 축이 되며 명상에 대한 접근성이 쉬워졌다. 그러다 보니 소위 “명상을 한다”라는 기준이 사람마다 달라지며 너무 어려운 혹은 너무 쉬운 명상이 공존하고 있다.

세상에 녹아든 명상
명상이 일상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데 공헌한 유명인들이 있다. ‘Let it be’는 명상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가사로 비틀즈의 명곡이다. 스티브 잡스는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때 늘 명상을 함께한 인물로 꼽힌다. 차드 멍 탄은 구글에서 내면 검색 프로그램을 세팅해놓았는데, 이 역시 명상이 창의성을 키우는 원동력으로 활용되고 있다. 유발 하라리는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에서 명상을 제안하며 그 역시 명상 수행자임을 고백하고 있다. 이렇게 대중화되는 명상에 대해 『맥 마인드풀니스(Mac Mindfulness)』라는 책에서 지적한 대로 명상이 지나치게 상업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창의성 등을 방해해 노동력을 착취하는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비판하고 있다.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명상은 이미 세상 속에 녹아 있다. 정작 명상을 한다, 하지 않는다는 이제 논의에서 빠져 있다. 도리어 명상적 삶이란 무엇인가를 두고 생각해보아야 하는 시대다.


명상적 삶이란 무엇인가
명상은 우리 사회에 이미 함께하고 있다. 다만, 명상을 어떻게, 얼마만큼,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가 중요해졌다. 명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일상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명상 학회에서도 “적정 명상”으로 자신의 삶 속에서 일상에서 자신에게 맞는 명상을 실천하는 것과 “명명적적”으로 작정하고 명상해 명상이 주는 깨달음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논쟁으로 밤을 지새운 적도 있다. 결국 명상적 삶이라는 것에 귀결되는 이야기들이었다. 우리가 지향하는 명상적 삶은 지금 이 순간, 시간과 공간의 상황에서 온전하게 머물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작업이다. 그래서 일상에서 늘 반복되는 일과 가운데 명상을 녹여내는 것을 시도해봄직하다. 식사 시간의 활용, 걷기 시간의 활용, 그리고 자는 시간의 활용이다.


◎ 식사 시간에 명상을 활용한다.
온전하게 먹는 연습이다. 맛있게 먹는 연습이다. 오감으로 맛을 느끼고, 음식에 들어간 것에 대해 에너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 어떤 음식을 먹을지를 떠올려보고, 스스로 먹을 음식을 결정한다.
• 주어진 음식을 온전히 먹는다. 어떤 감각이 가장 활발하게 작동하는지 관찰한다. 미각뿐 아니라 다른 감각도 관찰하며, 음식이 주는 에너지를 온전하게 받아들인다.
• 먹은 음식이 자신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생각해보고 음식을 먹은 것에 대해 감사한다. 그리고 음식으로부터 받은 에너지로 생기가 돌아감을 확인한다.

◎ 걷기 시간에 명상을 활용한다.
온전히 걷는 연습이다. 육체와 정신이 만나는 시간이다. 생각과 움직임이 하나가 되면서 심신통합을확인하는 시간이다. 살아 있음을 확인한다.

• 걷기에 앞서 잠시 자리에 서서 땅의 기운, 지기(地氣)를 확인한다. 땅과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작정하고 걷기로 마음을 먹는다.
• 걷는 동안 발바닥을 중심으로 걷는 동작에서 나오는 감각에 우선 집중한다. 걷기가 충분히 안정되면, 걸으면서 시각이나 청각에도 주의를 두어 관찰하고, 생각과 감정도 관찰한다.
• 걷기를 마치면서의 감각도 확인하고, 다소 힘이 드는 것에 대해 알아차림하고, 운동 후의 충분한 휴식도 확인한다.

◎ 자는 시간에 명상을 활용한다.
충분하게 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시간이다. 수면이란 완전한 휴식이다. 모든 것을 내려놓고 수면에 드는 연습을 통해 완전한 휴식을 경험하는 시간이다.

• 잠자리에 들기 전, 작정하고 휴식을 취할 것을 다짐한다. 여러 생각 가운데, 그날의 기분 좋은 것, 감사할 일을 떠올린다.
• 한 단계 한 단계 깊은 수면으로 들어간다. 단계별로 심화하는 것으로 한걸음씩 나아가본다.
• 깨어날 때 충분한 휴식을 취함에 대해 감사하고 각성한다.

식사 시간, 걷기 시간, 자는 시간을 활용하면 명상이 일상에 고스란히 녹아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렇지만 역시 이런 것을 반복하면서도 무엇인가 부족을 느낄 수 있다. 작정하고 명상하기가 아쉬울 수 있다.

식사, 걷기, 수면의 시간에 우선 명상을 실천해본다. 이런 행위에서 마음챙김을 담아내는 것이다. 이렇게 매일 반복되는 일과의 어떤 포인트에 명상을 세팅해 놓는다면 명상적 삶을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작정하고 명상하는 시간에 그러한 욕구를 확인하고 시행해보는 것이다. 이때부터는 수행이 된다.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교육연구부장, 기획진료부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로 재직 중이며 한국명상학회 회장, 한방신경정신과학회, 신심스트레스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