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자신으로 사는 길’을 찾아서, 무등산 규봉암 | 암자 기행

무등산 규봉암


무등산의 외양은 뒷동산처럼 두루뭉술합니다. 만만해 보이기조차 합니다. 높이 (1,187m)와 넓이(75.425㎢)가 예사롭지 않은 웅장한 산이지만 부드럽습니다.

무등산의 부드러움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졌을 리는 없습니다. 한때는(중생대 말기, 약 1억 년 전~약 7,000만 년 전) 주체할 길 없는 뜨거운 가슴을 안고 살았습니다. 그때 분출된 용암이 굳어 이루어진 기둥 모양의 바위(주상절리)가 무등산만의 독특한 경 관을 이루었습니다. 무등산 3대 석경(石景)이라 일컫는 입석대, 서석대, 광석대의 절경이 그것입니다. 이 가운데서도 규봉 동남쪽 아래 광석대 일대의 주상절리 지 대를 으뜸으로 칩니다. 그 광석대 일대의 바위들을 병풍처럼 둘러치고 앉은 암자 가 규봉암(圭峰庵)입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광산현 불우조」를 보면, 규봉암은 ‘규봉사’로 기록되어 있 고 도선 스님이 창건했다고 합니다. ‘화순현 불우조’의 설명이 더 상세한데 역시 규봉사라 했고, 세상에 전해오기를 도선 스님이 창건했다 합니다. 이와 함께 권극 화(?~?, 조선 전기의 문신)의 기록을 인용해, ‘규암’이라 하고 의상 스님이 돌 사이에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물이 나오는 것을 보고 기이하게 여겨 정사(精舍)를 세웠고 이어서 보조 스님과 진각 스님이 공부해 도를 이루었다 합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으로 미루어볼 때, 규봉암의 창건주는 확정하기 어렵지만 창건 시기는 늦추어 잡아도 통일신라였고 고려 때까지도 규봉사였다는 것 정도는 알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를 지나며 쇠미해졌다가 1950년대 후반에 양철 지붕을 인 토굴 형태로 명맥을 이었고, 1991년부터 현 암주인 정인 스님이 손수 지게로 돌을 옮겨 축대를 쌓으며 불사를 일으켜 오늘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해 발 850m에 위치한 암자 치고는 상당한 규모이고 주불전은 관음전입니다. 관음전 뒤 석간수가 나오는 곳에도 번듯한 집이 있습니다. 산꼭대기의 ‘용왕각’입니다. 물에 신격을 부여한 정인 스님의 마음속으로, 돌 사이에서 나오는 물을 보고 정사 를 세웠다는 의상 스님의 마음이 흘러든 것 같습니다.(현 규봉암에서는 의상 스님을 창건주로 여깁니다.)

무등(無等). 부처님을 높여 부르는 이름 가운데 하나입니다. 전통적 (혹은 정통적) 해석에 따르면 비길 데 없이 존귀한 분이라는 뜻인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협소한 해석 같습니다. 부처님에게는 비교 대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 서 부처이고, 중생이 다가가기 어려운 경지입니다. 무엇을 상대하든 ‘그것이 되 는’, 물을 만나면 물이 되고 불을 만나면 불이 되는 경지인 것입니다.

무등산은 높이를 지워버린 산입니다. 그래서 편안한 산입니다. 부처님의 마음 같은 산입니다. 규봉암 가는 길은 그 마음을 따르는 길입니다. 남들과 비교하는 마음만 내려놓아도, 최소한 ‘나 자신으로 사는 길’은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윤제학, 사진|신병문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