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 홍련암 | 한국의 기도처, 관음성지 순례

끝없이 펼쳐진 동해에서 

홀연히 몸을 나투시는 관세음보살


낙산 홍련암



신라의 의상 스님은 ‘출가’와 ‘유학’이라는 당대 최고의 엘리트 코스를 걸었다. 그럼에도 한평생 삼의일발(三衣一鉢)의 청빈한 수행자였다. 당나라에서는 중국 화엄종 제2대 지엄조사의 법통을 이었다. 당이 신라를 침공한다는 소식에 스님은 귀국길에 오른다. 670년의 일이다. 조정에 이 사실을 알려 미리 대비케 했다. 

당나라에서 귀국한 의상 스님이 처음으로 향한 곳은 관세음보살이 머문다는 양양 바닷가의 관음굴이었다. 그곳에서 간절히 기도정진하며 관세음보살께 바치는 ‘백화도량(白花道場) 발원문’을 지었다. 일주일째 되는 날, 동해의 파도 속으로 뛰어들었는데 팔부신중이 관음굴로 이끌어 그곳에서 예배드리게 했다. 그곳에서 수정 염주 한 꾸러미와 여의주를 얻은 스님은 다시 마음을 다잡고 정진을 이어간다. 그리곤 이레 만에 관세음보살을 친견했다. ‘대나무 한 쌍이 솟아나는 산정에 불전을 지으라’ 하신 관세음보살의 말씀 따라 낙산사를 창건했다. 그런 뒤에야 스님은 태백산으로 옮겨가 부석사를 창건, 해동화엄의 시조가 된다.

의상 스님이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관음굴은 보타굴로도 불렸다. 관음굴 위에 지은 암자가 홍련암이다. 붉은 연꽃 위에 나투신 관세음보살을 상징한다. 세간에서는 홍련암조차 관음굴이라 부르기도 했다. 

홍련암 법당 한쪽의 작은 마룻장을 들어 올리면, 뚫린 구멍으로 동해의 파도가 천길만길 기암괴석에 부딪치고 넘나드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이 뚫린 마룻장은 중생들이 관음굴을 내려다볼 수 있게 한 배려이기도 하지만, 의상 스님께 여의주를 바친 용이 부처님 가르침에 귀 기울이도록 배려한 부분이기도 하다. 

경전에서 이르기를 항상 관세음보살을 염하고, 마음에 새겨 정성으로 예배하면 모든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다. 그만큼 관세음보살은 서원이 크고 높고 깊은 분이자 중생구제에 적극적인 자비의 화신이시다. 관세음보살이 머무는 곳은 보타락산(補陀落山)이다. 남인도에 관세음보살이 머무신다는 ‘포탈라카(Potalaka)’산의 음역이다. 『화엄경』에 선재동자가 보타락산에 도착하는 장면은 바닷가의 아름다운 곳으로 그려지고 있다. 세계적인 관음도량이 모두 바다에 면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이치다. 이 땅에서 관세음보살님을 친견할 수 있는 첫손 꼽는 도량이 바로 양양 낙산사의 홍련암이다. 

(위) 홍련암 법당에 앉아서 바라본 동해바다의 의상대
(아래) 법당 마루바닥 가운데 작은 창으로 바다를 내려다보면 관음굴을 볼 수 있다.


홍련암 벽화에 그려진 파랑새(관음조)

신라가 통일의 위업을 이룰 때까지 당나라와의 전투는 7년 동안 지속되었다. 전란으로 고통을 겪던 신라인들에게 ‘누구라도 그 이름만 불러도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관음신앙은 참으로 깊고 깊은 위로였고 의지처였다. 의상 스님은 관세음보살이 경전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신라 땅 관음굴에 머물고 계심을 실천적으로 보여주었다. 백성들은 보타락산이 서역의 어딘가가 아니라 동해의 낙산임을 믿게 된 것이다. 신라는 곧 부처님의 땅이라는 믿음이야말로 고난의 신라인들에게 더없는 자부심이었을 터이다.

관음신앙은 백성들 사이에 친근하게 뿌리내려갔다. 신심 깊은 고려의 문신 유자량이 관음굴을 찾아 기도를 올렸다. 그러자 파랑새가 꽃을 물고 날아와 갓 위에 떨구고 갔다. 파랑새로 변신한 관음보살을 친견한 것이다. 송나라 혜진 스님은 1095년, 낙산의 관음굴을 참배하려는 부푼 꿈을 안고 고려에 왔다. 그러나 조정에서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경봉 스님이 관음기도 중에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그 인연으로 직접 쓰신 '홍련암' 현판

1930년, 경봉 스님도 관음기도 중에 관세음보살을 친견하셨다. 그 인연으로 홍련암 현판을 직접 쓰셨다.  

조선 후기 문신 임유원이 ‘허공을 질러 절을 일으켰다’고 표현했을 만큼 홍련암은 관음굴 위, 두 바위에 놓여 있다. 영험한 관음도량답게 매서운 한파나 한여름 폭풍이 휘몰아쳤어도 긴 세월 끄떡없었다. 낙산사 화재 때 화마가 홍련암 1m 전방에서 멈춘 일 또한 굴지의 관음성지라 가능한 일일 것이다.    

넘실대는 검푸른 파도 사이로 불끈 치솟는 해, 무명을 밝히며 황금빛으로 떠오르는 해는 찬란한 희망이다. 정초에 떠오르는 해를 희망으로 맞으려는 이웃들이라면 팬데믹 상황의 위기 시대,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외며 국난 극복을 간절히 기도했을 의상 스님을 닮아볼 일이다. 절절한 기도는 지친 기력을 쫙 펴주고, 새 생명력을 솟구치게 만든다. 

관음도량 홍련암에 가면 부디 동해의 풍광을 굽어보시라. 그 장엄함으로 정초를 열고, 충만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기를! 그곳에서 중중무진 화엄의 바다도 함께 만나보시라. 그러다 끝없이 펼쳐진 창망한 동해에서 홀연히 몸을 나투시는 관세음보살도 부디 친견할 수 있기를! 


글|이윤수 

방송작가. 문화 콘텐츠 전공으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고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연구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에 『연등회의 역사와 문화콘텐츠』가 있다.

사진|하지권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