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가에 홀로 앉아
물 밑의 스님을 우연히 만나
묵묵히 웃음으로 서로 바라볼 뿐
그대를 안다고 말하지 않네
- 진각 혜심 국사(無衣子, 1178~1234)
한국의 수행처 순례|5대 적멸보궁
붓다의 깨달음을 묻은 곳
오대산 상원사 적멸보궁
상원사에서 왼편으로 비로봉 정상으로 올라가는 두 갈래의 길이 있는데 하나는 계단으로 가파르게 나 있고, 또 하나는 자동차 길로 잘 닦여져 있습니다만 모두 중대 사자암을 거쳐서 올라가게 됩니다. 중대 사자암에서 600m쯤 올라가면 적멸보궁이 나오고 그 뒤에 약 1m의 작은 탑으로 조성된 그곳이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묻혀 있는 곳입니다.
이곳을 찾은 날에는 비도 내리고 눈도 내렸습니다. 적멸보궁 뒤편 조그마한 언덕 위, 아담하게 조성된 작은 탑 안에 그 옛날…
통도사에는 수호신 용이도량을 지킨다
경남 양산의 영축산 자락에 위치한 통도사의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있다. 건물 뒷면에 금강계단을 설치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도사라는 절 이름도 금강계단을 통해 도를 얻는다는 의미와 진리를 깨달아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에서 통도(通道)라고 했다 한다. 한편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고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님이 설법하던 인도 영축산의 모습과 통하기 때문”이라 한다.
통도사를 창건한 분은 목숨보다 지계(持戒)를 중시했던 자장율사(59…
불교와 자본주의 1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불교자본주의
유승무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교수
들어가며모든 생명체는 영양분을 섭취해야 생명을 이어갈 수 있다. 인간도 예외가 아니다. 밥이 생존의 필수인 이유다. 그러나 인간은 무기물, 식물, 다른 동물 등과는 달리, 영양분만 섭취하고 살지는 않는다. 사회를 구성하고 그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다. 사회를 구성하고 의미를 찾아내지 않으면 사는 것마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법(法; Dharma)’의 존재 이유리라. 때문에 밥과 법의 문제 혹은 그 둘 사이의 관계 설정 문제는 모든 인간과 그들…
불교와 자본주의 2
마음의 자유와 경제 활동의 자유
윤봉준미국 뉴욕주립대학교(빙햄턴) 경제학과 교수
불교는 욕망에의 집착을 버릴 것을 가르친다. 불교의 무욕(無慾)은 개인의 자리심(自利心)에 기초한 자본주의 혹은 시장경제와는 정반대로 보인다. 불교와 자본주의 간에 공통분모는 없는가?
불교와 근대 자본주의 간의 접점을 찾아보면 첫째로 자유가 있다. 불교는 미망(未亡)과 집착(執着)으로부터의 자유를 근간으로 한다. 『반야심경』에 의하면 물체, 느낌, 마음, 감각, 의지, 의식(色受想行識)이 모두 실체가 없는 헛된 것(五蘊 皆空)임을 깨달으면…
자본주의 문제 해결을 위한 자아실현 공동체 경영
노부호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명예교수
최근 젊은이들이 퇴사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할 정도로 퇴사를 많이 하고 있다. 이유는 나로 살아가지 못하고 점점 자기를 잃어가고 있다는 위기감을 느꼈다는 것이다. 자기를 찾는 경영, 자기 삶을 사는 경영이 요구된다. 불교에서는 자기를 찾는 것을 깨달음이라고 말하고 있다. “주인공을 찾아라”라는 경봉 스님의 법문에서 중 국의 한 스님이 본성을 찾아 오도송으로 설법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경봉 스 님의 법문을 보면 주인공을 찾아라, 본성을 찾아라, …
불교와 자본주의 4
자본주의와 개인의 경제생활
윤성식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자본주의는 결함에도 불구하고 경제 발전의 효율적인 수단스티브 잡스는 자신이 설립한 애플 이사진에 의해 CEO 자리를 박탈당하고 쫓겨났다. 하지만 그는 쫓겨난 뒤에 회사를 설립해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 스티브 잡스가 나간 뒤에 애플은 경영 위기에 빠지며 다시 스티브 잡스를 CEO로 임명할 수밖에 없었고 애플은 오늘의 애플로 거듭났다. 스티브 잡스가 사망한 날 애플의 주가는 하락하고 경쟁 기업인 삼성전자의 주가는 상승했다. 스티브 잡스의 개인적 가치는 얼마가 될까?…
불교와 자본주의 5
부(富)에 대한 불교의 관점
불교경제불교경제는 불자의 일상과 삶에서 중요한 문제다. 재가 불자의 경우 경제 활동을 통해 생계 유지, 가족 부양, 사회 공헌 등을 해야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정신적 발전을 위해서는 모든 활동을 불교윤리의 범위 안에서 해야 하기 때문이다.
불교 가르침은 갈애를 끊어내라고 하며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탐닉을 경계한다. 보살은 깨달음을 위해 호화로운 삶을 버리며, 깨달음을 얻은 후에도 최소의 필수품 외에는 물질적 소유 없이 살아간다. 실로 불교에 입문한 사미승은 승가에 들어오기 전에 …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기후 위기 탈출의 시작
조명래 전 환경부 장관, 단국대 석좌 교수
근자에 들어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 소비 증가로 일회용품 사용이 부쩍 늘었다. 집콕족이 증가하며 배달 음식을 포함한 일회용품의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용기, 비닐 및 종이 포장재 사용이 크게 늘면서 폐기물 배출량도 급증한 것이다. 특히 편리성과 가성비 때문에 플라스틱류 일회용품 폐기물의 급증이 두드러지고 있다.
폐기물의 20~30% 급증은 폐기물의 적정 처리 시스템에 한계를 드러냈다. 2020년은 일 년 내내 폐기물 수거 대란의 우려가 끊이지 …
SNS